투표 용지 논란의 과학적 사실: '복원력 있는 종이' 가능한가?
아니, 저 정치 더러워서.. 특히 한국 정치 이야기 안 본 지 십 년 넘었는데요. 비상계엄령이 저를 자꾸 깨우네요. 왜 이렇게 저랑 관계 많은 내용, 제가 할 말이 많은 것들이 고구마 캐는 것처럼 자꾸 나오는 걸까요? 오늘은 요즘 한참 뜨겁게 '다시' 올라오고 있는 문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한 것인데요. 부정선거가 나타났다고 주장하거나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관위에서 말하는 유명한 형상기억종이->'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수 재질의 종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부정선거 의혹은 지금이 처음이 아니라 이미 2019년에도 한번 제기되었다가 헌재에서 판사들의 비밀 증거 조사 후, 아니라고 판정이 되었지만, 이번에 한국뿐 아니라 한국의 전자개표기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에서도 전자개표기의 취약성이 드러나는 여러 예들이 나타나면서, 한국에서도 부정선거 의혹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음모론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정황과 사진 자료, 영상 자료들이 있어서 상당수의 사람들은 이에 대한 사실 확인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선거는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관한 여러 가지 의혹을 불러일으키는 증거들을 사람들은 주장하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 바로 투표 종이에 대한 이슈입니다. 22대 총선에서 마치 한 번도 사람의 손으로 만져지지 않은 것 같은 빳빳한 종이 투표지 뭉텅이에 대한 의혹에 선관위는 '형상기억종이'라고 공식 발표?를 한 적이 있는데요. 이를 반박하는 증거들이 올라오자 말을 바꾸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수 재질의 종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 말 또한 과학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한때 한국에서 우연한 기회에 국제과학캠프에 참가한 적이 있습니다. 영재 수준으로 주로 물리학의 학업 성취도가 높은 영재 아이들이 모였었고, 여기에서 만난 친구들은 지금 전 세계 유명한 연구소, 및 교수 등등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잠들려고 했는데 문득 그때 일이 떠오르더라고요. 이때 인솔했던 친구들이 그룹 자유 과제로 했던 주제가 바로 '종이'였어요. 종이의 구조, 물리학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들을 미니 과제로.. 포스터 발표 했었는데, 저도 옆에서 흥미롭게 그 내용을 봤기 때문에.. 한번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정말 궁금합니다. 어떤 이유로, 선관위는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수 재질의 종이'라고 말씀하셨는지..? 그런 종이였으니 그렇게 말씀하셨을 거 아닙니까? 혹시.. 근거 없이 말씀하신 건 아니겠지요? 선거관리위원회인데요.. 그렇죠?
만약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수 재질의 종이가 있다면, 어떤 재질로 코팅이 되어 있거나, 탄소 섬유 같은 특수 재질의 종이어야 하는데, 그런 종이는 투표용지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투표용지는 스탬프잉크가 흡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종이는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로 되어 있으며, 섬유 간의 수소 결합으로 강도가 유지됩니다.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그 결합이 쉽게 끊어져 눌림, 구겨짐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잉크를 흡수하게 하려고 종이는 그 밀도가 아무리 높아도 반드시 다공성(구멍이 있는 헐거운 조직)과 어느 정도 표면에 거칠기를 가지도록 만들어집니다. 다공성 조직은 결합과 결합 사이가 멀고, 그 결합을 유지하는 힘이 적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고요. 조금의 물리적인 힘에도 쉽게 결합이 끊어지겠지요. 이러한 특징 때문에 복원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종이의 복원력과 잉크의 흡수기능은 양립할 수 없는 상충되는 기능입니다. 즉 잉크가 찍히는 것과 복원력을 모두 만족하는 완벽한 종이는 현재로서는 현실적으로 만들어지기 어렵습니다.
복원력이 좋은 종이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같은 특수재질의 종이가 있는데요, 이것은. 연료 전지 내부에 사용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 종이 시장에서는 탄소섬유종이는 유통되거나 구할 수 없습니다. 종이에 라미네이트 같은 특수 코팅을 하면 복원력을 좋게 할 수 있겠지만.. 그럴 경우 잉크가 제대로 찍히지 않을 것입니다.
이상 형상기억종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종이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