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생활백서/독일에서 본 한국
전두환 5.18의 계엄군과 2024비상계엄령의 계엄군: 같을까, 다를까?
The 1975
2024. 12. 6. 08:39
반응형
SMALL
5.18 광주 계엄군과 2024년 비상계엄령의 계엄군: 공통점과 차이점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계엄군과 2024년 비상계엄령의 계엄군은 모두 계엄령 하에서 활동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사건은 목적, 행동 양상, 역사적 맥락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계엄군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현대 민주주의에서 계엄령과 군대의 역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논의해보겠습니다.
5.18 광주 계엄군: 정당성의 결여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계엄군은 신군부(전두환·노태우 중심의 군부 세력)가 12.12 군사반란을 통해 정권을 장악한 뒤, 이를 공고히 하기 위해 동원한 군사력이었습니다.
1. 목적
- 민주화 요구 억압: 광주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강압적으로 억압하고, 신군부의 독재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 헌법적 목적 부재: 이 계엄령은 헌법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불법적으로 정권을 장악하려는 정치적 도구였습니다.
2. 행동 양상
- 과도한 군사력 사용: 민간인을 상대로 폭력을 행사하며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 폭력적 억압: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보다 군부 독재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분명했습니다.
3. 법적 정당성
- 헌법적 권위 없음: 5.18 계엄군은 헌법적 절차를 무시한 불법적 군사 작전이었습니다.
- 민주주의 원칙 위배: 국민 주권과 헌법 질서를 파괴한 사례로, 현재까지도 역사적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 비상계엄령의 계엄군: 헌법적 권한 아래 활동
2024년 비상계엄령은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따라 현직 대통령이 발동한 것으로, 헌법적 권한 아래 이루어진 조치였습니다.
1. 목적
- 헌법 질서 유지: 부정선거 의혹으로 인한 국가적 혼란을 방지하고, 헌법적 질서를 유지하며 국가 안정화를 도모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 혼란 수습: 정치적 갈등 속에서 민주적 체제를 보호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2. 행동 양상
- 충돌 회피: 시민들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며, 주요 헌법 기관인 국회와 선관위를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군사적 절제: 과도한 무력 사용 대신, 최소한의 개입으로 질서를 유지하려 했습니다.
3. 법적 정당성
- 헌법적 권위: 대통령의 헌법적 권한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로, 정규 절차와 지휘 체계 아래에서 활동한 군사였습니다.
- 논란의 여지: 다만, 계엄령 발동의 필요성과 적절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5.18 광주 계엄군 vs. 2024년 비상계엄령 계엄군의 차이점
5.18과 2024 계엄군을 과연 같은걸까?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1. 목적과 정당성의 차이
- 5.18 계엄군:
국민의 민주화 요구를 억압하기 위해 동원된 불법적 군사로, 헌법적·도덕적 정당성이 전혀 없는 사례입니다. - 2024 계엄군:
헌법적 질서를 유지하고 국가 안정을 도모하려는 시도로, 법적 권한 아래 활동했습니다. 그러나 발동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는 필요합니다.
2. 시민과의 관계
- 5.18 계엄군:
시민을 적으로 간주하고 폭력을 행사하며 국민 주권을 억압했습니다. - 2024 계엄군:
시민과의 충돌을 최소화하며 안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이는 현대 민주주의의 발전된 군사 개입 방식을 보여줍니다.
3. 역사적 교훈
- 5.18 사건:
민주주의와 헌법 질서를 파괴한 군사 독재의 상징으로, 권력 남용이 얼마나 큰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2024 계엄령:
헌법 질서를 지키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나, 계엄령 발동의 투명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란은 미래 민주주의 체제를 위해 개선해야 할 과제를 남겼습니다.
결론: 우리가 배워야 할 것
5.18 광주 계엄군과 2024 비상계엄령 계엄군은 역사적 맥락과 법적 정당성에서 명백히 다릅니다.
- 5.18 계엄군은 민주주의를 억압한 불법적 폭력 집단으로,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 될 교훈을 남겼습니다.
- 2024 계엄군은 헌법적 권한 아래 활동했지만, 계엄령 발동의 필요성과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군사적 조치 없이 민주주의와 헌법 질서를 유지하는 더 성숙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때입니다.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미래를 위한 균형 있는 정치와 통제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반응형